노트/용어정리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어트레이유
2011. 10. 5. 00:27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은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거시 경제학에서 고 물가(인플레이션)와 실직, 경기 후퇴(스태그네이션)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뜻한다.
이 경우 총공급이 줄어들어 물가가 오르고 GDP가 후퇴하며 이 결과로 투자 위축이 발생하여 실업률이 오르게 된다.
역사적으로는 1970년대 중동국가가 석유를 자원무기화 하면서 석유공급을 인위적으로 감소했고, 이로 인해 원유 공급가격이 급등하면서 전반적인 인플레이션이 발생했고, 인플레이션 부담으로 경제침체가 오면서 실업률이 높아진 경험이 있다.
예문)
골드만삭스 "선진국 경제, 대침체 가능성 40%"
골드만삭스의 이코노미스트 호세 우르수아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주요 선진국에서 스테그플레이션이 전망된다"며 "이들 국가들이 빠른 회복세로 대침체(The Great Stagnation)를 피해 가기 위해선 신뢰를 회복하고 개혁을 추진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진단했다.머니투데이 2011.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