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용어정리

적대적 M&A(기업인수·합병)

어트레이유 2011. 10. 12. 04:13

기업의 M&A(인수 합병)는 Mergers & Acquisition의 약자로서 기업의 합병 및 매수를 의미. 즉 M&A는 대상 기업들이 하나로 합쳐져 단일회사가 되는 합병(Merger)과 기업이 다른 기업의 자산 또는 주식의 취득을 통해 경영권을 획득하는 기업매수(Acquisition)가 합쳐진 개념.
이 M&A라는 용어는 학문적으로 정립된 용어가 아닌 실무적인 차원에서 형성된 용어이기 때문에 의견은 분분하나 국내에서는 보통 인수 합병으로 명명되어짐. M&A를 다시 정리하자면 ‘기업경영에 관한 지배권의 이전, 혹은 인수를 목적으로 하는 경영행위 또는 경제행위’라고 정의(Person & Barrie; 1986).
 

우호적 M&A
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인수기업이 인수대상기업 경영진의 동의없이 공개매수, 주식매집, 위임장 경쟁 등을 통해 대상기업의 소유권과 경영권을 차지하는 것을 의미. 주로 주가가 저평가되어 매수의 채산성이 좋거나, 주식매집이 용이하거나 경영전략상 매력이 있는 기업이 인수합병 대상이 됨

(적대적 M&A의 순기능·역기능) ▵구조조정을 통한 기업가치 상승 ▵경영의 합리화 ▵선진 경영기법 유입 등의 순기능 뿐 아니라 ▵경영권 방어를 위한 불필요한 자원 동원으로 인한 투자 재원 감소 ▵단기 차익만을 노린 투기자본의 투자자금 조기회수를 위한 무리한 고액배당

(대표적 적대적 인수기법) 기업사냥꾼 (Raiders), 그린메일(Green Mail), 턴 어라운드 (Turn Around), 차입매수(LBO : Leveraged Buy out), 토요일밤의 기습작전 (Saturday Night Special) 등

(대표적 방어법) 소유구조 개편, 재무구조 개편, 자산 구조조정 (사전방어법), 자산 구조조정 (사전방어법) 등을 통해 적대적 M&A를 방어
 
-정부에서는 외국자본에 위한 적대적 M&A에 대처하기 위한 포이즌 필과 차등의결권제도 등을 도입키로 함

예문)

法, 적대적M&A 거든 은행에 "수백억 배상해야"

불법행위로 적대적M&A 거든 은행 등에 경영권프리미엄 배상책임

 

지난 2006년 업계 2위였던 신호제지(현 아트원제지 (1,815원 상승15 0.8%))의 인수합병(M&A) 과정에서 국일제지의 적대적 인수를 도왔던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 대표와 신한은행이 전 경영진에 수백억원의 배상하라는 판결이 나왔다.

머니투데이 10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