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10. 5. 00:48ㆍ노트/용어정리

아리스토텔레스는 스피치의 골격을 구성하는 주요 아이디어들의 집합을 토우피(Topoi)라 불렀다(Cooper, 1932). 토우피란 그리이스 말로서 '장소(Place)'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아이디어들의 모임을 '장소'라 표현한 이유는 동일한 주제와 관련된 아이디어들은 하나의 카테고리로 뭉쳐져서 동일한 기억장소에 저장되어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한 주제를 설명하기 위한 아이디어들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모여있는 기억장소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이런 과정을 토우피를 발견하는 과정이라 불렀던 것이다.
오늘날 토우피는 스피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아이디어들의 모임, 즉 사고의 카테고리를 의미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따라서 핵심명제를 설정하고 난 후 이를 발전시켜 나갈 주요 아이디어를 개발할 때는 자신의 스피치에 가장 적절한 토우피를 찾아야 한다.
1. 일반 토우피
지금까지 개발된 유용한 일반 토우피로는 육하원칙(Journalistic topoi), 대안제시 토우피(Stock issues topoi), 그리고 윌슨 아놀드 토우피(the Wilson-Arnold topoi)를 들 수 있다.
1) 육하원칙
육하원칙은 어떤 사건이 전개된 과정이나 어떤 행사가 진행된 과정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한 토우피이다. 따라서 위원회의 활동사항이나 연구의 진척사항 등을 보고하거나, 사건의 발발 경위를 설명하거나, 역사적 사건의 진행과정을 논의할 때는 이 토우피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토우피는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어떻게(How), 왜(Why)라는 6 가지 주요 아이디어로 구성되는데, 뉴스 보도에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저널리스틱 토우피라고도 부른다. '누가'는 행위의 주체 또는 사건을 일으킨 사람을 가르키며, '언제'는 행위나 사건이 발생한 시간을, '어디서'는 그것이 발생한 장소를, '무엇을'은 행위나 사건의 내용을, '어떻게'는 행위나 사건이 진행된 방식을, 그리고 '왜'는 행위나 사건이 일어난 이유를 가르킨다.
2) 대안제시 토우피
대안제시 토우피는 기존의 제도, 정책, 제품 등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토우피다(Sproule, 1991). 이 토우피는 문제(Problem), 심각성Significance), 본질성(Inherency), 해결력(Solve the Problem), 실현가능성(Workability), 그리고 부작용(Disadvantage)의 6 가지 아이디어로 구성된다.
(1) 문제: "왜 새 대안이 필요한가?"
(2) 심각성: "문제가 대안을 필요로 할만큼 심각한가?"
(3) 본질성: "문제가 현 상황의 본질적인 문제인가?"
(4) 해결력: "대안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5) 실현가능성: "대안은 실현가능한가?"
(6) 부작용: "새 대안이 갖는 본질적인 문제는 없는가?"
<대안제시 토우피에 기초한 주요 아이디어 개발의 예>
주제: 일본문화 수입
세부목적: 청중들에게 일본문화 수입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해
핵심명제: 일본문화는 이미 우리 사회의 도처에 파고들어 있는데도 형식적으로만 수입을 금하고
있어서 저질문화의 체계적 검열을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
1. 문제: 일본문화상품을 검열하는 제도가 없어서 저질문화가 걸러지지 않고 있다
2. 심각성: 저질문화는 여러 영역에 파고 들어서 청소년들에게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3. 본질성: 정부가 형식적으로 수입을 금하는 현 상황에서는 검열이 불가능 하다.
4. 해결력: 수입을 자유화하면 국내문화상품과 동등한 검열제도를 적용할 수 있다.
5. 실현가능성: 국내문화상품 검열제도가 정착되어 있으므로 이를 원용하면 된다
6. 부작용: 수입이 자유화되면 일본문화의 유입이 더욱 확대될 것이지만 이것은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할 것이다
윌슨 아놀드 토우피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학자인 윌슨(John Wilson)과 아놀드(Carroll Arnold)는 스피치에서 자주 쓰이는 여러 가지 소재를 정리하여 발표하였는데 이를 윌슨 아놀드 토우피라고 한다(Wilson & Arnold, 1978). 윌슨 아놀드 토우피는 크게 '속성(Attributes)' 토우피와 '관계' 토우피로 나뉘어지는데, 전자는 하나의 대상에 대해 논의할 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후자는 두 개 이상의 대상을 동시에 논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3) 속성 토우피
어떤 대상--이를테면 사람, 물건, 개념, 제도, 정책, 상품 등--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토우피가 윌슨과 아놀드의 속성 토우피이다. 속성 토우피는 존재와 비존재, 정도, 공간적 속성, 시간적 속성, 움직임과 행동, 형태, 본질, 변이력, 위력, 요망성, 그리고 실현가능성 등 11 가지 주요 아이디어를 포함한다. 물론 하나의 주제를 논의하기 위해서 이 아이디어 10개를 모두 다 논의할 필요는 없다. 이 중에서 자신의 스피치에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만 골라 쓰면 된다.
가. 존재와 비존재: "있느냐 없느냐?"
나. 정도나 양: "어느 정도냐?" 또는 "얼마나 있느냐?"
다. 공간적 속성: "지역별 또는 영역별로 어떻게 분포되어 있느냐?"
라. 시간적 속성: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천해 왔느냐?"와 "미래의 전망은 어떠한가?"
마. 움직임과 행동: "어떻게 움직이느냐?" 또는 "어떻게 행동하느냐?"
바. 형태: "어떻게 생겼느냐?"
사. 본질 및 정의: "어떤 특성과 구조를 가지고 있느냐?"
아. 변이력: "변할 수 있느냐?" 또는 "바꿀 수 있느냐?"
자. 위력: "얼마나 강하냐?"
차. 요망성: "얼마나 바람직한가?"
카. 실현가능성: "실현이 가능한가?"
<윌슨 아놀드 토우피에 기초한 주요 아이디어의 예>
주제: 일본문화
세부목적: 청중들에게 일본문화의 폐해를 일깨우기 위해
핵심명제: 제도의 허점을 뚫고 무분별하게 유입되는 일본문화는 우리 청소년들을 병들게 하고 있다.
존재/비존재 + 정도/양: 수입금지조치에도 불구하고 일본문화가 불법으로 대거 유입되고 있다
공간적 속성: 만화, 비디오, 잡지, 음반 등 청소년들이 주 구매층인 모든 영역에 파고 들고 있다
요망성: 불법으로 유입되는 대부분의 일본문화는 저질이다.
위력: 청소년들의 의식형성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변이력: 아직은 늦지 않았지만 조금만 더 꾸물거려도 어떻게 해 볼 도리가 없는 사태에 빠질 수 있다.
4) 관계 토우피
두 개 이상의 대상을 함께 논의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들의 모임이 윌슨과 아놀드의 관계 토우피이다. 관계 토우피에는 인과관계, 상관관계, 종-속 관계, 유사-대조 관계, 그리고 가능-불가능 관계가 있다. 이 다섯 단계는 그 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한쌍의 대상을 설명하는 데 모두를 다 적용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한 쌍의 대상을 논의할 때는 이 중에서 적절한 것만 골라 쓰면 된다.
가. 인과관계
두 대상 중 하나가 다른 하나를 초래할 때, 즉 한 대상이 다른 대상의 원인이 되는 경우, 두 대상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있다고 한다.
나. 상관관계
상관관계는 인과관계보다 약한 관계로서 두 대상이 서로 연관은 있지만 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인과관계가 불명확할 때 설정하는 관계이다.
다. 종-속(種屬) 관계
종-속 관계란 한 대상이 다른 대상의 일부분이 될 때 이 두 대상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이다.
라. 유사-대조 관계
유사-대조 관계란 두 대상이 얼마나 비슷하고 얼마나 다른가를 나타내는 관계이다.
마. 가능-불가능 관계
가능-불가능 관계는 한 대상이 존재함으로써 다른 대상의 존재를 가능케하느냐 아니면 불가능하게 하느냐를 보여주는 관계이다.
[주요 아이디어의 개발]
스피치의 주제와 목적이 결정되고 이에 기초하여 핵심명제가 개발되면 스피치의 뼈대를 구성할 주요 아이디어를 개발해야 한다. 핵심명제의 요점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반드시 다루어야 할 주요 소재들을 찾아내는 과정을 주요 아이디어의 발견 또는 개발이라고 한다.
1) 주장
주장이란 청중이 채택했으면 하고 연사가 내세우는 말을 가리킨다. 하나의 설득적 아이디어는 반드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장을 갖게 된다.
주장은 크게 사실적 주장(factual claims), 가치적 주장(value claims), 그리고 정책적 주장(policy claims)으로 나눌 수 있다. 사실적 주장은 사실여부에 대한 자신의 판단을 내세우는 것으로, 가치적 주장이란 어떤 대상에 대한 평가를 밝히는 것으로, 그것이 "좋다/바람직하다" 또는 "나쁘다/바람직 하지 않다"라는 결론을 제시한다. 정책적 주장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옳은가"하는 행위와 실천의 당위성에 대한 주장이다.
2) 입증
주장은 뒷받침이 잘 되어야 설득력이 높다. 그렇지 않고 근거없는 주장을 내세우거나 순환논리적으로 같은 주장만 되풀이 하면 청중은 그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물론, 연사를 독단적인 사람으로 인식하게 되어 그 공신력만 평가절하 하게 된다.
3) 논증
논증은 입증을 동반한 주장을 가리킨다. 주장도 없이 증거만 제시하는 것은 논증이 아니며, 입증절차도 없이 주장만 제시하는 것도 논증이 아니다. 전자는 단순한 자료에 불과하며, 후자는 독단적 단언(Assertion)일 뿐이다.
◈아이디어 개발 및 조직정리기법◈
1.주요 아이디어의 조직 기법
1) 연대기적 조직(Chronological pattern)
주요 아이디어들이 시간적 속성을 가지고 있을 때는 연대기적 조직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꾸어 말하면, 주요 아이디어들이 역사의 전개과정, 대상의 발전과정, 사건의 진행과정, 또는 일의 수행절차 등의 각 단계를 대표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선후 관계로 나열하여 정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말이다.
2) 공간적 조직(Spatial pattern)
주요 아이디어들이 공간적 속성을 가지고 있을 때, 즉 서로 공간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을 때는 이들을 지리적 분포에 따라 정리하는 공간적 조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를테면, 대륙간 차이나 각국의 제도 또는 지역의 특성을 논할 때, 사람이나 물건이 지역적으로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가를 논할 때는 가장 중요한 지역을 필두로 해서 인접한 지역으로 서서히 이동해 가는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인과적 조직(Causal pattern)
주어진 스피치가 어떤 현상의 원인을 진단하거나 어떤 원인의 결과를 분석하는 경우에는 인과적 조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인구증가의 원인에는 사망률 감소, 출생율 증가, 식량 생산성 증가 등이 있다"처럼, 어떤 현상의 원인을 진단하는 핵심 명제를 가진 경우에는 인구증가, 사망률 감소, 출생율 증가, 식량 생산성 증가 등의 개념을 갖게 된다. 이 때는 이 개념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스피치를 조직하면 좋다. 이를테면, "사망율의 감소가 인구증가를 초래한다", "출생율의 증가가 인구증가를 초래한다", 그리고 "식량생산성의 증가가 인구증가를 초래한다"는 식으로 정리한다는 것이다.
4) 소재별 조직(Topical pattern)
주요 아이디어의 조직 기법 중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것이 소재별 조직이다. 대부분의 스피치에서 주요 아이디어는 시간적 속성이나 공간적 속성 또는 인과관계에 의해 연결되기 보다는 개별성이 강한 소재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5) 문제 해결식 조직(Problem-solution pattern)
현재의 상황이나 상태, 제도나 정책, 또는 제품이나 전략 등에 문제가 있어서 이를 지적하고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스피치를 할 때는 문제 해결식 조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문제 해결식 조직이란 문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그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한 후 그 장단점을 논의하는 기법이다.
6) 대안 제시식 조직(Stock issues pattern)
대안 제시식 조직은 문제 해결식 조직과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문제 해결식 조직은 모두가 현상황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접근법인 반면 대안 제시식 조직은 청중이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식하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접근법이라는 것이 결정적인 차이점이다.
7) 단계적 동기화 조직(Motivated sequence)
광고의 경우처럼 주어진 대상의 효능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스피치를 하는 경우에는 단계적 동기화 조직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조직은 시선집중(Attention), 욕구(Need), 충족(Satisfaction), 시각화(Visualization), 그리고 행동(Action)의 5 단계로 구성된다.
2. 스피치의 주요 부품과 그 조직
주요 아이디어와 세부 내용의 체계가 결정되면, 스피치 주요부의 조직을 완성시켜야 한다. 스피치 주요부는 핵심명제, 주요 아이디어, 그리고 세부 내용을 골격으로 하는데, 이들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해주고 연결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예고와 중간요약 그리고 문간이동 기법을 사용한다.
1) 핵심명제
핵심명제는 그 스피치에서 하고자 하는 말을 요약한 하나의 간결한 문장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오존층에 대한 설득적 스피치를 하는 경우에 "오존층이 유해 태양광을 차단하여 지구상의 동식물을 보호하며 대기오염은 이러한 오존층을 파괴하고 있다"라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면 이것이 곧 핵심명제이다.
(1) 핵심명제는 반드시 언급하라
(2) 서론의 끝 부분에서 발표하는 것이 보통이다
(3) 적의적 청중을 설득하려 할 때만 결론의 끝 부분에서 발표하라
(4) 실제로 발표할 때는 의도형 문장으로 표현하라
(5) 핵심명제는 다양한 방식으로 발표할 수 있다
2) 예고
예고(Preview)란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하기 전에 그 논의가 무엇에 대한 것인지를 요약하여 미리 발표하는 것을 말한다. 하나의 스피치를 하다 보면 여러 차원에 걸쳐서 예고를 사용할 수 있는데,
가장 높은 차원의 예고는 스피치 전체 내용에 대한 예고이고,
다음 차원은 주요 아이디어들에 대한 예고이며,
가장 낮은 차원의 예고는 세부 내용에 대한 예고이다.
3) 중간 요약
중간 요약(Internal Summary)은 예고와 반대의 기능을 한다. 예고는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기 전에 청중들을 안내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라면, 중간 요약은 일단의 논의가 끝난 후에 청중들의 이해를 정리해 주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예고가 세 차원에 걸쳐서 사용될 수 있듯이 중간 요약도 세 차원에 걸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피치의 본론이 모두 끝난 후 결론을 시작하기 전에 전체 스피치에 대한 요약을 제시할 수 있고,
일련의 주요 아이디어들에 대한 논의가 끝난 후 이 주요 아이디어들을 요약해 발표할 수 있으며,
하나의 주요 아이디어에 대한 논의가 끝난 후 세부 내용들을 중간 요약할 수 있다.
4) 주요 아이디어
주요 아이디어를 조직하는 기법은 위에서 자세히 논의했으므로 여기서는 주요 아이디어들을 조직할 때 유의하여야 할 사항만 간략히 논의하기로 하겠다. 첫째, 하나의 주요 아이디어는 하나의 아이디어만 표현해야 한다. 자신이 생각해낸 주요 아이디어가 복수의 아이디어를 내포하고 있을 때는 이들을 분리해서 독립적인 주요 아이디어로 만들어야 한다.
5) 세부 내용
세부 내용을 조직하는 기법은 주요 아이디어를 조직하는 기법에 준한다. 따라서, 세부 내용을 조직할 때는 위에서 논의한 주요 아이디어의 조직 기법과 조직시 유의사항들을 참고로 해야 한다. 주요 아이디어 조직 시에는 해당되지 않지만 세부 내용을 조직할 때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할, 한 가지 유의사항이 있다. 그것은 세부 내용을 구성하는 보조자료나 입증자료 또는 세부 설명이 제 자리에 잘 끼여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지 않고 엉뚱한 내용이 주어진 주요 아이디어의 세부 내용을 논의하는 자리에 끼이게 되면 스피치가 조직력을 잃게 된다.
6) 연결과 문간 이동
좋은 스피치를 하기 위해서는 아이디어들이 한 곳에서 다른 곳을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하여야 한다. 바꾸어 말하면, 아이디어들 사이의 연결이 부드러워야 듣기 좋은 스피치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결사와 내용 이정표 그리고 논의전환사를 사용하는 기법을 터득하여야 한다.
(1) 연결사는 다양하게 사용하라
(2) 내용 이정표는 연결사보다 더 효과적이다
(3) 논의전환사는 논의의 전환을 부드럽게 한다
'노트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MO(Genetically Motified Orgnisms - 유전자 변형 농산물) (1) | 2011.10.12 |
---|---|
어닝 서프라이즈(Earnings Surprise) (0) | 2011.10.12 |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0) | 2011.10.05 |
신용디폴트스와프 (CDS) (0) | 2011.09.29 |
유권해석(authoritative interpretation, 有權解釋) (0) | 2011.09.28 |